기획자・디자이너를 위한 넓고 얕은 개발 지식/Javascript

5화. 자바스크립트 연산자 완벽정리!

theblnc 2024. 10. 28. 01:37
반응형

자바스크립트 연산자 쉽게 알아보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자바스크립트에서 자주 사용하는 연산자들을 쉽게 설명해드릴게요. 자바스크립트에서 연산자는 숫자를 계산하거나, 값을 비교하거나, 조건을 확인할 때 사용하는 중요한 도구예요. 하나씩 알아볼까요?


1. 더하기 연산자 (+)

더하기 연산자는 두 숫자를 더하는 연산자예요. 예를 들어, 사과 2개와 3개를 더하면 총 5개가 되겠죠?

5 + 3; // 결과: 8

2. 빼기 연산자 (-)

빼기 연산자는 두 숫자를 빼는 연산자예요. 10에서 4를 빼면 6이 남아요.

10 - 4; // 결과: 6

3. 곱하기 연산자 (*)

곱하기 연산자는 두 숫자를 곱하는 연산자예요. 예를 들어, 4와 2를 곱하면 8이 돼요.

4 * 2; // 결과: 8

4. 나머지 연산자 (%)

나머지 연산자나눗셈의 나머지를 구할 때 사용해요. 예를 들어, 7을 3으로 나누면 나머지가 1이 남아요.

7 % 3; // 결과: 1

5. 그리고 연산자 (&&)

그리고 연산자두 조건이 모두 맞을 때 참(true)이라고 판단해요. 즉, 두 개 다 맞아야 참이에요.

true && true; // 결과: true 
true && false; // 결과: false

6. 또는 연산자 (||)

또는 연산자하나라도 맞으면 참(true)이라고 판단해요. 두 개 중 하나만 맞아도 괜찮아요.

true || false; // 결과: true 
false || false; // 결과: false

7. 작거나 같은 연산자 (<=)

작거나 같은 연산자는 두 숫자를 비교해서 첫 번째 값이 작거나 같으면 참(true)이라고 판단해요.

5 <= 10; // 결과: true 
10 <= 10; // 결과: true 
15 <= 10; // 결과: false

 

반응형

8. 같지 않다 ( != )

같지 않다 연산자두 값이 다르면 참(true)이라고 판단해요. 만약 값이 같다면 거짓(false)이에요.

5 != 3; // 결과: true (값이 다르니까 맞아요) 
5 != 5; // 결과: false (값이 같으니까 틀려요)

9. 완전히 같지 않다 ( !== )

완전히 같지 않다 연산자값과 타입이 둘 다 다를 때 참(true)라고 판단해요. 값이 같아도 타입이 다르면 참이에요.

5 !== "5"; // 결과: true (값은 같지만, 타입이 다르니까 맞아요) 
5 !== 5; // 결과: false (값과 타입이 모두 같으니까 틀려요)

10. 같다 ( == )

같다 연산자값만 같으면 참(true)이라고 판단해요. 숫자와 문자열도 값이 같으면 참이에요.

5 == "5"; // 결과: true (숫자 5와 문자열 "5"는 값이 같으니까 맞아요) 
5 == 5; // 결과: true

11. 완전히 같다 ( === )

완전히 같다 연산자값과 타입이 모두 같아야 참(true)라고 판단해요. 값이 같아도 타입이 다르면 거짓이에요.

5 === "5"; // 결과: false (값은 같지만 타입이 다르니까 틀려요) 
5 === 5; // 결과: true (값과 타입이 모두 같아요)
 

결론

  • +: 더하기
  • -: 빼기
  • *: 곱하기
  • %: 나머지 구하기
  • &&: 둘 다 맞아야 참
  • ||: 하나만 맞아도 참
  • <=: 작거나 같으면 참
  • !=: 값이 다르면 참
  • !==: 값이나 타입이 다르면 참
  • ==: 값만 같으면 참
  • ===: 값과 타입이 모두 같아야 참

이제 자바스크립트에서 사용하는 다양한 연산자들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 쉽게 알겠죠? 😊 여러분도 직접 써보면서 더 재미있게 자바스크립트를 배워보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