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갚음" vs "되갚음" 구분법
"대갚음"과 "되갚음"은 비슷하게 들리지만, 둘 중 어느 것이 올바른 표현인지 확실히 알고 쓰는 게 중요하다. 어떤 차이가 있는지 함께 살펴보자.
'되갚음'은 받은 것을 되돌려 주는 것, 즉 어떤 은혜나 원한 등을 그대로 돌려주는 행위를 뜻이다. 표준어로, 복수나 보답의 의미를 담고 있다.
- 예시: "그는 받은 은혜를 되갚았다."
- 예시: "친구에게 받은 도움을 꼭 되갚을 거야."
많은 사람들이 '대갚음'을 '되갚음'으로 착각하는 경향이 있으나, '대갚음'은 '대답할 대(對)'+'갚음'의 합성어(한자어+순우리말)이다.
2023년 9월 이전에는 표준국어대사전에 '되갚다'라는 단어가 등재되어 있지 않아 비표준어로 간주되었다. 따라서 '되갚다'는 많은 한국어 사용자들이 틀리는 표현으로 지적된 바 있으며, '대갚음하다'로 고쳐 쓸 것이 권장되었다.
그러나 '되갚다'의 사용 빈도가 매우 높아지자 2023년 9월, 국립국어원은 표준국어대사전에 '되갚다'를 새로운 표제어로 등재하였다. 현재 '되갚다'는 표준어이니, 걱정하지 말고 마음껏 쓰도록 하자. 물론 '대갚음'이나 '대갚음하다'도 여전히 표준어다.
다만, '대갚다'라는 단어는 없다는 점을 주의하자. 동사형은 '대갚음하다'이다.
- [맞춤법] - 음모론급 '든지' vs '던지' 논쟁
음모론급 '든지' vs '던지' 논쟁
"든지"와 "던지" 구분법한국어에서 "든지"와 "던지"는 자주 헷갈리는 표현이죠. 둘 다 비슷하게 들리지만, 문장에서의 역할과 의미가 다릅니다. 어떻게 구분하는지 함께 알아볼까요?1. "든지": 선
blnc.tistory.com
2024.10.22 - [맞춤법] - 음모론급 '며칠' vs '몇일' 논쟁
음모론급 '며칠' vs '몇일' 논쟁
"며칠"과 "몇일" 헷갈리지 마세요!한국어에서 자주 혼동되는 단어 중 하나가 "며칠"과 "몇일"인데요. 많은 분이 이 둘을 같은 뜻으로 쓰곤 하지만, 사실 맞는 표현은 따로 있습니다. 오늘은 그 차
blnc.tistory.com
2024.10.19 - [맞춤법] - 음모론급 '일부러' vs '일부로' 논쟁
음모론급 '일부러' vs '일부로' 논쟁
일부러와 일부로 쉽게 구분하는 법!한국어를 사용하다 보면 비슷한 발음 때문에 헷갈리는 단어들이 있죠. '일부러'와 '일부로'도 그중 하나인데요, 오늘은 이 두 단어를 어떻게 구분하고 올바르
blnc.tistory.com
'맞춤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음모론급 '불다' vs '붇다' 논쟁 (0) | 2024.10.26 |
---|---|
음모론급 '째째하다' vs '쩨쩨하다' 논쟁 (0) | 2024.10.26 |
음모론급 '우겨넣다' vs '욱여넣다' 논쟁 (0) | 2024.10.23 |
음모론급 '꺼림칙하다' vs '꺼림직하다' 논쟁 (0) | 2024.10.23 |
음모론급 '든지' vs '던지' 논쟁 (0) | 2024.10.22 |